확률과 통계 정리 - 경우의수, 순열, 조합
해당 포스팅은 고등학생때 배웠던 확률과 통계의 내용을 복습하기 위해서 만들어졌으며 포스팅의 내용들은 유튜브의 고등학교 수학 채널 수악중독의 확률과 통계 개념정리내용을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.
1. 경우의 수
- 합의 법칙 : 동시에 일어나지 않는 두 사건을 더해줍니다.
- ex) 1~10까지의 카드 2장 선택시 합이 7의 배수인 경우의수
- 곱의 법칙 : 동시에 혹은 연속적으로 일어나는 두 사건을 곱해줍니다.
- ex) 24의 약수의 갯수 (2와 3이 동시에 발생하는 사건)
- ex) 주사위 2개를 던질때, 나올 수 있는 경우의 수 (주사위 2개가 연속적으로 발생하는 사건)
2. 순열(Permutation)
- $n$개의 데이터 중에서 $r$개를 순서를 고려하여 나열하는 경우의 수를 의미합니다.
- $_{n}\mathrm{P}_{r} = \frac{n!}{(n-r)!}$
- $n! = n \times n-1 \times \cdots \times 1$
- 순서를 고려한다는 의미는 나열의 $a, b, c$를 순서를 바꿔서 나열할 수 있는 경우의 수를 구한다고 할 때, $ab$와 $ba$는 서로 다른 경우의 수로 본다는 의미입니다.
원순열
- 기존 순열의 경우 시작지점과 끝지점이 명확하지만, 원순열은 누가 시작지점이고 누가 끝지점인지 모르기 때문에 돌아가는 순서가 같으면 똑같은 순서로 봅니다.
- $\frac{n!}{n} = (n-1)!$
중복순열
- $n$개의 데이터중에서 $r$개를 뽑는 경우의 수를 구하는데 중복을 허용하는 경우를 말합니다.
- $_{n}\mathrm{\Pi}_{r} = n^r$
3. 조합(Combination)
- $n$개의 데이터 중에서 $r$개를 순서롤 고려하지 않고 선택하는 경우의 수를 말합니다.
- $_{n}\mathrm{C}_{r} = \frac{n!}{(n-r)!r!}$
- 앞선 조합과 다르게 순서를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$ab$와 $ba$를 서로 같은 경우의 수로 보게됩니다.
중복조합
- 순서를 고려하지 않고 중복을 허용하는 경우의 수를 구하는 방법입니다.
- $_{n}\mathrm{H}_{r} = _{n-1 + r}\mathrm{C}_{r}$
이항 정리
-
2개의 항을 n승한 결과를 구하는 방법으로 식으로는 $(a+b)^n$ 입니다.
- $(a + b)^n = \sum^{n}_{r=0} {_{n}\mathrm{C}_{r}} {a^{n-r}}{b^{r}}$
- $_{n}\mathrm{C}_{r}$을 이항 계수라고 부릅니다.
-
이항정리의 특성
-
$(1+x)^n = _{n}\mathrm{C}_{0}x^0 + _{n}\mathrm{C}_{1}x^1 + \cdots + _{n}\mathrm{C}_{n}x^n$ 일 때, $x$가 $1$인 경우와 $-1$인 경우를 구해줍니다.
$2^n = _{n}\mathrm{C}_{0} + _{n}\mathrm{C}_{1} + _{n}\mathrm{C}_{2} +\cdots + _{n}\mathrm{C}_{n}$
$0 = _{n}\mathrm{C}_{0} - _{n}\mathrm{C}_{1} + _{n}\mathrm{C}_{2} +\cdots + _{n}\mathrm{C}_{n}$
$T = _{n}\mathrm{C}_{0} + _{n}\mathrm{C}_{2} + _{n}\mathrm{C}_{4} +\cdots + _{n}\mathrm{C}_{n} = _{n}\mathrm{C}_{1} - _{n}\mathrm{C}_{3} + _{n}\mathrm{C}_{5} +\cdots + _{n}\mathrm{C}_{n-1}$
$2^n = 2T$
$T = 2^{n-1}$
-
$_{n}\mathrm{C}_{n-r} = _{n}\mathrm{C}_{r}$
$_{n}\mathrm{C}_{n-r} = \frac{n!}{(n-(n-r))!(n-r)!} = \frac{n!}{(r)!(n-r)!} = \frac{n!}{(n-r)!r!} = _{n}\mathrm{C}_{r}$
-
$_{n-1}\mathrm{C}_{r-1} + _{n-1}\mathrm{C}_{r}= _{n}\mathrm{C}_{r}$ 의 공식은 파스칼의 삼각형을 통하여 이해가 쉽도록 할 수 있습니다.
파스칼의 삼각형은 그림과 같이 $(x + 1)^n$ 의 전개식의 계수를 정리한 것을 표현한 것으로 위 두 수 10, 10이 아래 가운데 값 20과 같습니다.
$_{1}\mathrm{C}_{0} + _{1}\mathrm{C}_{1}= _{2}\mathrm{C}_{1}$ 이라는 이항정리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.
계산상의 테크닉으로 삼각형의 하키스틱 공식도 존재하며 식으로 정리하면 $_{n+1}\mathrm{C}_{r+1} = \sum^{n}_{k=r} \ _k\mathrm{C}_{r}$ 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.
-