Processing math: 100%

확률과 통계 정리 - 경우의수, 순열, 조합

» math

해당 포스팅은 고등학생때 배웠던 확률과 통계의 내용을 복습하기 위해서 만들어졌으며 포스팅의 내용들은 유튜브의 고등학교 수학 채널 수악중독의 확률과 통계 개념정리내용을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.

1. 경우의 수

  • 합의 법칙 : 동시에 일어나지 않는 두 사건을 더해줍니다.
    • ex) 1~10까지의 카드 2장 선택시 합이 7의 배수인 경우의수
  • 곱의 법칙 : 동시에 혹은 연속적으로 일어나는 두 사건을 곱해줍니다.
    • ex) 24의 약수의 갯수 (2와 3이 동시에 발생하는 사건)
    • ex) 주사위 2개를 던질때, 나올 수 있는 경우의 수 (주사위 2개가 연속적으로 발생하는 사건)

2. 순열(Permutation)

  • n개의 데이터 중에서 r개를 순서를 고려하여 나열하는 경우의 수를 의미합니다.
    • nPr=n!(nr)!​​​​
    • n!=n×n1××1
    • 순서를 고려한다는 의미는 나열의 a,b,c​를 순서를 바꿔서 나열할 수 있는 경우의 수를 구한다고 할 때, ab​와 ba​는 서로 다른 경우의 수로 본다는 의미입니다.

원순열

  • 기존 순열의 경우 시작지점과 끝지점이 명확하지만, 원순열은 누가 시작지점이고 누가 끝지점인지 모르기 때문에 돌아가는 순서가 같으면 똑같은 순서로 봅니다.
  • n!n=(n1)!

중복순열

  • n개의 데이터중에서 r개를 뽑는 경우의 수를 구하는데 중복을 허용하는 경우를 말합니다.
    • nΠr=nr​​

3. 조합(Combination)

  • n개의 데이터 중에서 r개를 순서롤 고려하지 않고 선택하는 경우의 수를 말합니다.
    • nCr=n!(nr)!r!​​​
    • 앞선 조합과 다르게 순서를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ab​와 ba​를 서로 같은 경우의 수로 보게됩니다.

중복조합

  • 순서를 고려하지 않고 중복을 허용하는 경우의 수를 구하는 방법입니다.
    • nHr=n1+rCr​​​

이항 정리

  • 2개의 항을 n승한 결과를 구하는 방법으로 식으로는 (a+b)n 입니다.

    • (a+b)n=nr=0nCranrbr​​​
    • nCr​​을 이항 계수라고 부릅니다.
  • 이항정리의 특성

    • (1+x)n=nC0x0+nC1x1++nCnxn​​​​​​​ 일 때, x​​​​​​가 1​​​​​인 경우와 1​​​​​인 경우를 구해줍니다.

      2n=nC0+nC1+nC2++nCn​​

      0=nC0nC1+nC2++nCn​​​

      T=nC0+nC2+nC4++nCn=nC1nC3+nC5++nCn1

      2n=2T

      T=2n1

    • nCnr=nCr​​​​

      nCnr=n!(n(nr))!(nr)!=n!(r)!(nr)!=n!(nr)!r!=nCr​​​

    • n1Cr1+n1Cr=nCr​ 의 공식은 파스칼의 삼각형을 통하여 이해가 쉽도록 할 수 있습니다.

      image

      파스칼의 삼각형은 그림과 같이 (x+1)n​​ 의 전개식의 계수를 정리한 것을 표현한 것으로 위 두 수 10, 10이 아래 가운데 값 20과 같습니다.

      image

      1C0+1C1=2C1​​ 이라는 이항정리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.

      image

      계산상의 테크닉으로 삼각형의 하키스틱 공식도 존재하며 식으로 정리하면 n+1Cr+1=nk=r kCr​ 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.